석가모니부처님 - 2. 시방세계에 두루 하신 부처님 > 불교란


불교란

불교란

석가모니부처님 - 2. 시방세계에 두루 하신 부처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조회15,802회 댓글0건

본문

2. 시방세계에 두루 하신 부처님 불교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부처님이 몇 분이나 계시는지 그리고 어떻게 다른지 또는 부처님은 신인지 인간인지 등에 대해서 많은 혼란을 일으킨다. 여기서는 우리가 모시는 부처님은 어떠한 분인지 교리적 측면에서 이해해 보고자 한다. 1) 그와 같이 오신 분, 여래 석가모니는 인도의 석가 부족의 위대한 성자라는 의미로 고타마 싯다르타 태자가 출가하여 깨달음을 얻은 뒤의 호칭이다. 그리고 부처님이란 깨달은 사람이라는 뜻으로 인도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 붓다(Buddha)에 대한 우리말이다. 또한 석가모니불 혹은 석가모니 부처님이라는 말은 경전 등에 나오는 부처님에 대한 정식 호칭은 아니고 아미타 부처님과 같은 다른 부처님과 구별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다. 다시 말하면 불교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만 계시는 것이 아니라, 석가모니 부처님이 출현하시기 이전에 이미 여섯 분의 부처님들이 계셨고 서방 정토에는 아미타 부처님이 계시는 등 많은 부처님들이 계신다. 바른 믿음을 가지기 위해서는 여래(如來)라는 부처님의 호칭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래란 석가모니 부처님 당시 인도에서 사회적으로 위대한 사람들을 일컫는 고유 명사였지만 불교에서는 보다 깊은 뜻을 지니게 되었다. 이 말은 산스크리트어 ‘타타가타(Tatha-gata)’를 옮긴 말로 직역하면 ‘그와 같이 오는 것’, ‘있는 그대로 오는 사람’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타타가타를 여거(如去)라고도 하는데 ‘그와 같이 가는 것’, ‘있는 그대로 가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있는 그대로 (tatha-)’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부처님 혹은 부처님의 법은 시방(十方 : 동서남북, 동북, 동남, 서북, 서남, 상하)과 삼세(三世 : 과거, 현재, 미래)에 두루 걸쳐 항상 변함없이 있음을 말한다. 두 번째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생애는 출가하여 단지 6년의 수행 끝에 깨달음을 얻고 중생 제도를 하시다가 열반에 든 것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석가모니 부처님은 고타마 싯다르타 태자로 우리 인간 세계에 오기 전 오랜 과거 생애 동안 보살로서 꾸준히 수행하며 수많은 중생을 제도한 결과 마침내 현생에서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이다. 나아가서 부처님의 법은 시간과 공간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변함없이 중생 제도를 목적으로 다른 명칭과 다른 몸, 즉 석가모니 부처님을 비롯한 여러 부처님들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 것이다. 2) 법신ㆍ보신ㆍ화신 석가모니 부처님의 열반에 관해 우리는 소박한 질문을 하나 할 수 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고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졌다면 왜 죽음은 피할 수 없었던가. 우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법(法)과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지 당신에게 의지하지 말라”는 부처님의 마지막 당부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라고 말씀하신 것은 모든 중생 하나 하나가 스스로 깨달음의 주체임을 말씀하셨다고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법에 의지하라는 말씀 중의 법은 무엇을 의미하고 부처님과 법의 관계는 어떤지 많은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한편 경전에서는 부처님의 몸은 법으로 되어 있다고 한다. 다시 말해서 부처님의 본래 모습은 법 그 자체인데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중생과 같은 몸을 빌려 중생의 세계에 오셨다는 것이다. 이것을 중생의 입장에서 해석한다면 우리 중생들은 본래 부처님의 법 그 자체를 볼 수도 들을 수도 없는 존재이므로 그 법을 쉽게 알아 볼 수 있게 하기 위해 중생과 같은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부처님과 법의 관계를 불교 교리에서는 삼신설(三身說)로 설명하고 있다. 삼신이란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을 말한다. 첫 번째 법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법(法)이라는 말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하다. 불교에서의 법은 크게 세 가지 의미로 쓰인다. 우선 부처님의 가르침, 즉 불교 교리를 말한다. 두 번째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얻은 깨달음을 일컫는 말로 모든 중생의 세계와 깨달음의 세계의 본질을 의미한다. 세 번째는 내가 눈으로 사물을 본다고 할 때 나라는 존재는 보는 주체가 되고, 보이는 사물은 대상 그리고 눈은 보는 수단이 되듯이 우리의 의식이 주체가 되어 어떤 것을 인식할 때 그 대상이 되는 것을 법이라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어린 시절의 어떤 추억을 회상할 때 그 추억이란 우리 의식의 대상이라는 점에서 법이라고 부른다. 그런데 법신의 법이란 두 번째의 법을 의미한다. 이 법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기 이전에도 그리고 열반에 든 이후에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변함없이 존재하는 진리 그 자체를 말한다. 따라서 법신이란 이와 같이 영원불변하고 유일한 법을 부처님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오분향 예불문’의 첫머리에 ‘계향, 정향, 혜향, 해탈향, 해탈지견향, 광명운대 주변법계’라고 나오는데, 계율을 지키고[戒], 마음의 흔들림이 없고[定], 참된 지혜를 갖추고[慧], 깨달음을 얻어 속박에서 벗어나고[解脫], 그 깨달음으로 얻은 자유자재 함을 스스로 알고 있는 것[解脫知見], 이 다섯 가지가 법신불이 갖추고 있는 덕목이라 한다. 대표적인 법신불로서는 비로자나불과 대일여래를 들 수 있다. 두 번째 보신은 응신(應身)이라 하는데 보신의 보(報)나 응신의 응(應)은 모두 받는다는 뜻으로 깨달음을 얻은 뒤 그 깨달음을 위해 끊임없이 정진했던 과보를 즐긴다는 의미이다. 법신이 중생을 직접 제도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보신은 법신과 같은 덕목들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중생의 간절한 서원에 따라 중생 앞에 나타나기도 하고 내생에 그 중생을 제도하기도 하는 부처님이 보신불이다. 아미타 부처님이 대표적인 보신불이다. 마지막으로 화신이란 보신과 같이 본래 법신의 부처님이지만 중생 제도를 위해 중생의 몸으로 바꾸어 직접 중생의 세계로 오신 부처님을 말한다. 따라서 보신불과는 달리 중생은 현생에서 언제나 부처님을 만날 수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대표적인 화신불이다. 앞에서 우리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고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 자재함에도 불구하고 왜 열반에 드셨을까 하는 소박한 의문을 가졌다. 그리고 법을 스승으로 삼고 당신을 스승으로 삼지 말라는 부처님의 마지막 당부 말씀을 통해 그 의문을 해결하고자 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말씀하신 법이란 법신으로서의 부처님을, 그리고 당신은 화신의 부처님이었음을 알 수 있다. 3) 시간과 공간을 넘어선 여러 부처님들 우리는 여래라는 부처님의 호칭과 삼신설을 통해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도 여러 부처님이 계셨고 이후에도 계실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는 삼세와 시방 세계에 걸쳐 어떤 부처님들이 계시는지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석가모니 부처님 이전에 여섯 분의 부처님, 즉 비파사불, 시기불, 비사부불, 구류손불, 구나함모니불, 가섭불이 계셨다고 하는데 이 여섯 부처님에 석가모니불을 포함하여 과거칠불이라 부른다. 또한 석가모니불 다음에 미래에 오실 부처님으로 미륵불이 계신다. 미륵불은 석가모니불이 인간 세계로 오시기 전에 도솔천에서 보살로 머물면서 정진했던 것처럼 지금 도솔천에서 미륵보살로 있으면서 부처님이 되기 위해 정진하고 있다고 한다. 한편 불교에서는 세계를 지금 우리가 우주를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규모로 말하고 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태양계에 속하는 작은 별이고 태양계는 은하계에 속하고 우주 공간은 시방으로 무한대로 뻗어 나가며 수많은 별들이 존재한다. 이와 비슷하게 불교의 세계관은 수미산을 중심으로 시방으로 무수한 세계가 존재하는데 그 수를 헤아려 삼천대천세계라고 한다. 그리고 이 무수한 세계 각각에는 부처님이 반드시 한 분씩 계셔 각 세계의 중생들을 제도하고 계신다고 한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 인간들이 살고 있는 사바세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오셨고, 동방의 묘희(妙喜) 세계에는 아촉불이 계시고, 서방의 정토세계에는 아미타불이 계신다. 이와 같이 불교에는 수많은 부처님들이 계시지만 그 본연의 모습은 오직 법신불로서 모두 동등하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해동용궁사
해동용궁사 소재지 :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용궁길 86 (기장읍, 해동용궁사)전화 : 051-722-7744   팩스 : 051-722-7333
Copyright(c)2021 해동용궁사. All Rights Reserved.